슈카가 잘못한 점은 빵값 정상화를 표방했기 때문임
댓글
0
조회
21
09.01 14:42

우리나라 빵 가격이 비싼 거?
다 알고 있음
빵이 비싼이유?
우리나라는 빵이 주식이 아니라 디저트, 사치제 개념임
디저트 빵에 제일 중요한 유제품류 -> 다른 나라의 두 배 이상
다품종 소량 생산으로 -> 인건비 많이 들어감
주식이 아니기 때문에 -> 마케팅 필요함
이렇게라 빵이 비싼거임
원조 일본 소금빵집의 소금빵 가격 1200원이라며
감히 한국에선 소금빵을 어떻게 3~4천원 받을 수 있냐며 일침 놓음
하지만 제빵류에서 제일 많은 부분을 차지 하는 버터를 쓰는제품이 아니라 마가린을 쓰는 제품임
당근 아님
대전 성심당 1500원 - 버터
(예전엔 1200원이었음)
광주 궁전제과 1700원 - 고메버터
광주 베비에르 2개에 3800원 - 버터
유명 베이커리들이 소금빵을 천원대에 이미 판매중임
어??
그럼 천원대에 팔 수 있는 거잖아!!!
라고 하면 안 됨
성심당
베비에르
궁전제과
다 뭐다? 거대 베이커리임
박리다매가 가능한 급이라는 것임
저가 베이커리의 영업이익표임
매출 원가 32%
저가 베이커리긴 하지만 보통 판매가의 30%내외를 원가라고 봄
그러니까
소금빵의 원가가 천원이라면 3천원으로 파는게 정상이라는거임
뭐? 왜 그렇게 비싸게 받냐고
다시 저 위의 표를 보자
원가가 천원이라고 해서 3천원으로 팔았을 때의 이익이 2천원이 아님
여튼 천원대에 팔 수 있다는 거잖아!
천원에 파는 게 뭐가 나빠!!!
사 먹는 사람한테는 좋은 거 아니야?
->
천원에 팔 수 있음
천원에 사서 맛있게 먹으면 끝임
이 말만 안 했다면!
그런데 슈카는 뭐라고 했어?
빵값을 정상화 하겠다고 했지?
자 다시 슈카 본인이 한 말임
박리다매를 해야 이득이 나는 가격이라고 본인이 말 했음
'성수'라는 특수한 지리적 위치
'팝업'이라는 특수한 상황
'박리다매'여야 이득이 나는 상황
마케팅 비용을 쓰지 않아도 '이미 유명한 유튜버'
라는 모든 상황을 본인이 무시하고
= 저렴한 빵으로 시장을 정상화하겠다
라고 했으니까 문제인거임
게다가 초반엔 엄연히 우리나라에서 빵값의 상당부분을 차지하는
'유제품'에서 쏙 바져나와서 마가린을 쓴 990짜리 빵을
다른 소금빵이란 비교한 것도 문제
성심당도, 궁전제과도, 베비에르도
이미 유명한 베이커리 그 어떤 곳에서도 천원대 소금빵을 팔면서
'시장 정상화'라는 말을 하지 않음
이미 지하철에 천원대 저가빵집이 있지만
그 누구도 저런빵을 보면서 3천원에 소금빵 파는 곳과 동일시 하지 않음
- 09.21 윤서빈 - Strawberry Candy MV TEASER #2
- 09.21 타이타닉 결말에 디카프리오 살릴 수 있지 않았을까?
- 09.21 ITZY 빠따는 예지가 때리는구나 ㄷㄷ
- 09.21 SNL 직장인들) 이수지를 자전거로 타는 이선빈 ㅋㅋㅋ
- 09.21 유민상식 햄버거 사이드 메뉴
- 09.21 어느 13세미만 아동 성폭행범의 속마음 ㄷㄷㄷ
- 09.21 글래머 몸매로 많이 사랑받는 것에 대한 권은비의 생각
- 09.21 영화팬들 사이에서 이슈라는 영화 <바람> 후속작 평점
- 09.21 현빈 인생이 쥰내 부러운 이유...
- 09.21 유재석이 백상 예술 대상 수상할때 배우님들 태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