언론이 말하지 않는 빽햄의 수상한 진실 


 

언론이 말하지 않는 빽햄의 수상한 진실 
댓글 0 조회   54

작성자 : 네이마르로
게시글 보기

 

 

 
해당 유튜버는 지금은 퇴사했지만 국내 1위 캔햄 회사에서 일했다고 합니다. 
 
 
 
영상 요약 
 
1. "고기 함량 비교당할 줄 몰랐다"는 발언에 대한 비판
 
캔 햄과 같은 육가공품은 고기 함량이 품질과 원가를 결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이며, 이는 기초 상식에 해당한다.
 
수십 년간 축적된 노하우와 상식이 존재하는 캔 햄 업계에서, 고기 함량은 **'금과옥조'**처럼 여겨지며, 원가 절감을 위해서도 건드리기 힘든 요소라는 것이 업계의 현실입니다.
 
 
 
2. "낮은 고기 함량은 원가 절감 목적이 아니다"에 대한 반박
 
백종원 측은 돼지고기 함량 7% 차이(85% vs. 92%)의 원가 차이는 60원에 불과하며, 이 차액은 **'국물용 양념'**을 넣기 위해 포기한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.
 
그러나 **'국물용 양념'**으로 언급된 성분이 원재료명 분석 결과, 주로 대두 단백임에 주목해야한다.
 
대두 단백은 유화력을 높여 더 많은 물과 지방을 흡수하게 해 원가를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있으며, 이는 단순히 60원 이상의 원가 차이를 만들어낸다.
 
식품법상 정제수는 육함량 계산에서 제외되므로, 대두 단백을 사용하여 물을 더 많이 넣어도 뒷면의 돼지고기 함량(85%) 표기는 유지될 수 있어 소비자에게 실제 원가 절감 효과가 숨겨진다.
 
그리고 돼지고기 함량 85%는 프레스햄으로 인정받기 위한 최소 기준이며, 이 기준에 맞춘 것으로 추정된다. 
 
 
 
3. "잘 팔리면 그때 가격 낮추겠다"는 경영 전략 비판
 
이 전략은 시장 진입 시 낮은 가격으로 점유율을 확보한 후 규모의 경제로 원가를 낮추는 정상적인 경영 전략이 아니다. 
 
또한, 백종원 본인이 사업가로서 이 제품의 비싼 구조(OEM 생산 등)를 설계해놓고, 소비자에게 **'국산 한돈 농가 살리기'**라는 공익적 메시지를 내세워 높은 가격을 정가하는 방식에 문제가 있다. 
 
 
 
4. 사태의 사회적 의미
 
빽햄 사태가 **'국산 마케팅의 종말'**을 알리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다. 과거에는 '신토불이'처럼 국산품 애용이 당연시되었지만, 이제는 소비자들이 공익을 내세우며 사익을 추구하는 사업가들의 행보에 대해 반감과 냉소적 태도를 가지기 시작했다.
 
 
 

 


네이마르로님의 최신 글
자유게시판
제목
  • 야구 해설위원 박용택 충격 근황
    1 48분전
  • 한두번 만져 본 솜씨가 아닌 손문선 ㅗㅜㅑ
    2 56분전
  • 남자입장에서 너무 고마운 여자 유형
    2 1시간전
  • 하락장이 좋은 이유
    3 3시간전
  • 클라이밍 처음 했다는 르세라핌 카즈하
    3 3시간전
  • 에스파 카리나랑 방구석 강릉 여행
    2 3시간전
  • 일본에서도 있었다는 영포티 패션 논란
    2 3시간전
  • 제작진놈들한테 당해버린 아일릿 원희
    2 3시간전
  • 서울 촌놈들에게 충주시 설명하는 충주맨
    2 3시간전
  • 백제왕만 연기하면 되는 배우
    2 3시간전
  • 1 분석왕오공 191,500P
  • 2 VIP 43,000P
  • 3 Yuhhhh4806 30,500P
  • 4 하니 28,800P
  • 5 분석왕 14,000P
  • 6 고슴도치 10,000P
  • 7 안구정화 6,500P
  • 8 야동왕토케또 5,000P
  • 9 쌰라웃 4,200P
  • 10 인기쟁이 3,700P